서강로 (광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강로 (광주)는 광주광역시 북구 운암동을 지나는 도로이다. 주요 교차로로는 하남대로와 만나는 (이름 없음) 교차로, 국도 제1호선(북문대로)과 연결되는 예술고 교차로, 하서로와 만나는 반촌 교차로 등이 있다. 서강중학교, 서강고등학교, 서강대학교 등의 교육 시설과 편의 시설, 운암3동 행정복지센터 등이 서강로에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주 북구의 교통 - 충장로
충장로는 광주광역시 동구에 위치한 번화한 상업 지구로, 일제강점기 주요 통치 기구가 집중 배치되었던 역사적인 장소이며, 현재는 의류 상가와 한복 거리가 조성되어 있고 매년 추억의 축제가 열린다. - 광주 북구의 교통 - 광주역
광주역은 1922년 개업하여 경전선과 호남선의 중요 정차역이었으나, KTX 운행이 광주송정역으로 이관된 후 현재는 일반 열차만 운행하며, 도시철도 연계 부족과 셔틀열차 폐지로 환승이 불편하다. - 광주광역시의 도로 - 충장로
충장로는 광주광역시 동구에 위치한 번화한 상업 지구로, 일제강점기 주요 통치 기구가 집중 배치되었던 역사적인 장소이며, 현재는 의류 상가와 한복 거리가 조성되어 있고 매년 추억의 축제가 열린다. - 광주광역시의 도로 - 호남고속도로
호남고속도로는 전라남도 순천에서 충청남도 천안까지 이어지는 고속도로로, 1973년 전 구간 개통 후 확장 및 개선 공사를 거쳐 논산천안고속도로와 통합되었으며,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 도입 등 이용객 편의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 도로 - 녹사평대로
녹사평대로는 반포대교 북단에서 시작하여 남산3호터널을 지나 소공로와 연결되며, 이태원 관광특구 등 상권과 남산으로의 접근성을 가지는 서울특별시 용산구의 도로이다. - 도로 - 국도 제3호선
국도 제3호선은 경상남도 남해군에서 강원도 철원군까지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1971년 삼천포-초산선으로 지정된 후 노선 변경 및 확장을 거쳐 현재에 이르며, 여러 도시를 경유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서강로 (광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도로 정보 | |
도로 종류 | 광주광역시도 |
노선명 | 서강로 |
노선 번호명 | 광주광역시도 제54호선의 일부 |
기점 | 광주광역시 북구 운암동 |
종점 | 광주광역시 북구 매곡동 |
주요 교차 도로 | 국도 제1호선 광주광역시도 제36호선 광주광역시도 제50호선 |
2. 주요 경유지
2. 1. 광주광역시
광주광역시 북구 운암동을 지난다.2. 1. 1. 북구 (운암동)
광주광역시 북구 운암동3. 노선
서강로는 광주광역시 북구 운암동에 있는 도로로, 총 길이는 약 1.3km이다. 도로명은 서강대학교(구 서강정보대학)에서 유래되었다.[1]
서강로는 하남대로에서 하서로까지 이어지며, 주요 교차로는 다음과 같다.
3. 1. 주요 교차로 및 접속 도로
이름[1] | 접속 노선 | 소재지 | ||
---|---|---|---|---|
(이름없음) | 하남대로 (광주광역시도 제50호선) | 광주광역시 | 북구 | 운암동 |
운암고가 | ||||
서강정보대 교차로 | 서강로54번길 | |||
예술고 교차로 | 국도 제1호선 (북문대로) | |||
운천교 | ||||
반촌 교차로 | 하서로 (광주광역시도 제36호선) |